항목 | 세부항목 |
---|---|
교육 | - 국내외 우수신입생 유치 시스템 구축 - 기초공학 및 설계 교육 강화 - 실험, 실습 교육 강화 - 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원 확보 - 추세에 따른 신기술분야 교육 강화 - 핵심 고급인력 양성 - 취업률 |
교수, 연구 | - 미래 핵심기술 융합연구 - 학·연·산 연구 강화 - 글로벌 핵심 교원 충원(외국인 교수/연구원) |
학생 | - 장학 규정 정비 - 학생 활동 지원 - 학생 참여 프로그램 확대 |
산학협력 및 국제화 | - 기업 맞춤형 특화트랙 - 대학 기업 공동 연구소 - 학·연·산 인력양성 활성화 - 지적 재산권 사업화 - 교환학생 프로그램 - 대학원 학생들의 해외 연수 기회 확대 |
행정·재정·조직 관리 | - 각 행정 업무의 분업화 - 각 재졍 업무의 전문화 - 조직 관리의 효율성 확대 |
교육 영역
국내외 우수신입생 유치 시스템 구축
필요성
- 학생들의 수도권 유출에 따른 적극적인 학생 유치 홍보
- 인구수 감소에 따른 절대적인 우수학생수 감소에 따라 외국의 우수학생 적극 유치 필요
주요 추진내용 및 계획
- 학생선발제도, 고교-대학간 연계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우수학생 유치 및 진학유도
- 홍보컨텐츠 개발 및 홍보, 이벤트 실시
- 산업체와의 연계로 보다 전문적인 실습교육 실시로 인한 취업률 향상으로 우수학생 유치
국내외 우수신입생 유치 시스템 구축 | ||
---|---|---|
유치대상 | 동남권역 우수학생 유치 |
해외 우수학생 유치 |
세부방안 | - 초·중·고등학교와 연계하여 전자전기공학 분야 적극 홍보 - 장학금, 우수 학생 해외 연수 프로그램 등 인센티브 제공 - 산업체 및 연구소 참관, 연수 등의 프로그램 개발 |
- 동남아 및 동유럽 등의 학교와 연계, 적극적인 인력 리크루트 - 국내외 네트워크를 통한 우수인력 스카우트 - 기숙사/등록금/연구보조금 지원 |
인프라 구축 | - 특화트랙 장학 프로그램 - 취업 진로의 다변화를 위한 교육과정 다양화 - 장학사업 확대추진 |
기초공학 교육 강화
필요성
- 신입생들의 기초학력 수준저하로 기초공학 교육강화 필요
- 신기술 교육을 위해 기초공학 교육 필수
주요 추진내용 및 계획
- 개념교육 강화: 세부 사항보다는 전체 개념을 중시하는 교육에 충실, 보다 어려운 과목을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
- 실험 및 실습 교육 강화: 기초과학과 공학지식에 대한 이론 교육뿐만 아니라 실험 및 실습 교육을 강화하여 학생들의 현장실무능력 배양
- 의사소통 능력 배양: 공학도들에게 부족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함으로써 졸업 후 산업체에서의 팀원 간의 원만한 프로젝트 수행능력을 배양
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원 확보
필요성
- 내실 있는 학생교육을 위하여 현재 65명 이상의 학생들이 한 강의실에서 수업을 듣고 있는 상황을 해소하는 것이 필요
- 전체적인 학생 수와 대학원, 학부의 개설 교과목을 고려 추가적인 교원확보가 절실
주요 추진내용 및 계획
- 추가적인 교원의 확보, 강의 시수 조절, 강의실 확보
- 2012년까지 교수 1인당 학생 수를 20명 정도의 수준으로 낮출 계획
신기술분야 교육 강화
필요성
- 전기전자 분야와 IT 기술 분야는 변화가 빠른 분야이므로 새로운 기술을 적시에 교육에 반영하여야 추세에 맞는 인재를 배출할 수 있음.
주요 추진내용 및 계획
- 학생, 산업체, 교수가 교육과정 개선에 동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역교육협의회를 이용
- 첨단기술 소개 및 파급을 위한 교수, 학생 연합의 현장 방문
- 산업체 맞춤형 교육 트랙 활용
- 특화트랙 교과목의 교과 수강과 학점 인정
- 창작경진대회를 통한 신기술창출 전문인력 육성
핵심고급인력 양성
필요성
- 미래 핵심 IT융합 분야의 성공적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핵심고급인력 양성이 필수적
- 현재 정체기에 접어든 IT 산업의 활성화와 새로운 IT 융합 기술
주요 추진내용 및 계획
핵심고급인력양성 사업 | 추진 내용 |
---|---|
지역특화산업 중견 전문 인력 양성 |
- 지역산업 특화에 부합되는 전문인력 양성 - 기반 주력기술 고도화를 위해 문제점 분석 및 해결능력을 갖춘 창의적 인력 양성 - 산업수요 맞춤형 우수인력 양성 - 실무 현장차원의 업무수행능력 우수인력 양성 |
신기술 창출 핵심 전문 인력 양성 |
- IT 융합 기술 개발을 주도할 수 있는 기술인력 양성 - 성장 동력 산업을 위한 신기술 개발인력 양성 - IT 융합기술을 타분야에 접목할 수 있는 선도인력 양성 |
취업률
필요성
- 청년 실업난의 가속화 → 경쟁력 있는 인력 양성과 취업활성화 필요
- 시장 개방으로 인한 지역산업의 경쟁력 저하 → 첨단기술 경쟁력의 필요
- 국내 인력수요의 한계 → 해외취업을 통한 취업 활로의 다변화 필요
주요 추진내용 및 계획
- 기업맞춤형 트랙 프로그램 개발
- 국내 취업 활성화 사업 추진
☞ 현장 맞춤형 단기강좌 등 취업전문 교육을 실시하여 취업률을 제고하며 산업체 애로기술의 해결을 통한 참여 학생의 취업활로 개척
☞ 취업 박람회(job fair)의 개최를 통한 취업정보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취업기회 제공 - 해외취업 활성화 사업 추진
☞ 해외 유수 연구소, 산업체와의 교류 및 한국산업인력공단, 한국국제협력단과의 협력을 통한 학생들의 해외 인턴쉽 지원체제를 구축
☞ 국제화 교육 단기강좌, 장단기 해외연수 등을 통하여 해외적응 인력 양성 및 해외취업의 활성화 기틀 마련 - 기업체 및 연구소 채용 특강 운영과 캠퍼스 리크루팅 운영
- 산업체와 학교를 연결하여주는 취업상담 전문센터 및 취업정보시스템을 운영하여 학생들에게 빠른 맞춤형 채용정보를 제공
교수, 연구 영역
성과 항목 | 2009. 4 현재 | 2010 | 2011 | 2012 | 2013 | 2014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교수 1인당 외부연구비 | 91,660,036 | 110,000,000 | 120,000,000 | 130,000,000 | 140,000,000 | 150,000,000 | |
교수 1인당 논문게재건수 |
SCI급 | 0.88 | 1.2 | 1.4 | 1.6 | 1.8 | 2.0 |
학진등재지 | 1.41 | 1.5 | 1.6 | 1.7 | 1.8 | 2.0 | |
특허권 | 신청건수 | 38 | 40 | 42 | 44 | 47 | 50 |
등록건수 | 19 | 21 | 23 | 25 | 27 | 30 | |
기술이전 | 건수 | 3 | 4 | 5 | 6 | 7 | 6 |
금액 | 28,000,000 | 40,000,000 | 45,000,000 | 50,000,000 | 55,000,000 | 60,000,000 |
미래 핵심 융합기술 연구
- Green IT, 로봇, SoC 및 임베디드 시스템 기술을 바탕으로 미래 핵심기술인 IT 융합기술을 개발
- 지역연고 기반산업과의 IT융합을 통한 사업화 촉진 및 전문인력 양성으로 지역산업 발전에 기여
글로벌 핵심교원과 연구인력 충원
- 연구역량이 우수한 교수를 채용을 위한 지원에 대한 제도 마련
- 현실적인 규모의 정착금과 적절한 규모의 연구실 및 실험실 제공을 위한 제도 도입
- 박사과정 진학을 적극 유도하여 심도있는 연구를 수행을 위한 연구인력 확보
산학협력 강화
- 산학협동과제를 수행함으로써 IT 융합기술이 자동차, 조선 등 타분야의 산업에 응용 → 부산, 경남 지역의 산업발전을 유도
- 연구개발 기술의 상품화로 이윤 재투자의 긍정적인 순환을 추진
☞ 연구개발 단계에서 산업체와의 교류를 통한 실질적이고 제품화 가능한 기술 개발 및 기술이전 추진 → 산업체에 의한 연구개발 실적 상품화 및 이윤 창출→ 대학에 연구개발 투자
연구 결과를 SCI 논문지에 제출할 경우 연구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우수한 논문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
- 인센티브는 impact factor를 고려하여 SCI 논문을 3단계의 등급으로 나누어서 논문게재 확정이 되는 단계에서 책임교수에게 지급
- 논문 인센티브는 1년에 수혜 가능한 총액을 정하여 한정적인 예산이 한 두 사람에게 편중되는 것을 방지
학생 영역
학생 지도 강화를 통한 학부 적응력 향상
- 입학 전 대학생활을 미리 경험하고 학생생활 안내 정보를 수집하며 기초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학생 지원 프로그램(신입생 오리엔테이션, 공학인증 새내기 워크샵 등) 실행
- 지도교수 면담을 통해 매 학년 진급 시에도 지속적인 관리 실시
학부 장학 선발 규정 정비
- 전자전기공학부 장학생 선발기준을 재검토하여 우수한 학생에게 실질적인 경제적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학부의 장학 규정 정비
- 다양한 장학제도를 발굴하여 지급방법을 개선하고 공학인증, 교육, 연구 및 학생활동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거나 학과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근로의 대가로서 장학금을 지급하는 규정을 수립
학생 활동 지원 및 학생 참여 프로그램 확대
- 각종 경진대회나 공모전에 참가하는 학생의 활동을 지원(복합 학제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경함할 수 있는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 등)
- 학부에서 수행하고 있는 각종 사업단의 학생 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한 다양한 학생 행사 마련(산업체 견학, 해외 대학 탐방, 각종 전시회 참가 등)
- 학술, 여가 및 취미활동, 취업 등을 위한 다양한 학과 내 동아리를 자율적으로 운영하도록 지원
- 전자전기인의 날, 대학원 오픈랩 행사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소속감 고취
- 전공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주제의 세미나 개최
- 학생의 학업, 취업 및 진학 등의 진로, 공학인증 과정의 수행을 관리하는 자율적 체계구축을 유도하고 지도 교수제를 도입
산학협력 및 국제화 영역
기업 맞춤형 특화트랙
- 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기업 맞춤형 특화트랙 운영
- 경영학 과목 이수를 통한 현장 적응인력 교육
- 현장실습 공동교육 실시
- 교육학생 수강료 지원
- 영어 관련 과목의 필수화와 외국어 단기강좌 개설로 해외현장 적응 인재양성
- 특성대학별로 특화트랙 과목을 개설
- 실무형 집중 단기강좌 개설
- 산학협력과제 운영
- 취업전문 단기강좌 운영
대학 기업 공동연구소
- 특정 기업의 필요에 의한 맞춤형 기업연구소 학내설치
- 우수한 R&D 인력 및 장비의 활용을 통한 산업체 기술력 향상
- 산업체 수요 맞춤형 연구 및 교육 가능
- 산업체는 우수대학인력 선점 가능
- 실용적 산업체 기술획득
- 산업적 실효성이 우수한 R&D를 통한 연구 향상
연구 성과물의 사업화
- IT 융합기술을 이용한 다각적인 산학협력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핵심기술에 대한 원천특허 확보
- 지적재산권을 등록하기 위하여 필요한 여러 가지 행정절차에 대하여 학부 차원에서 지원
- 출원 단계와 등록 단계에 각각 인센티브를 제공
- 원천기술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활용하여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사업화
- 기술료 수입은 발명자에게 충분한 인센티브로 지급
- IT융합 부품기술은 동남권 지역에 다수 존재하는 자동차, 조선 관련 기업들에게 적용되어 부품산업의 기술력을 한 단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이러한 기술개발을 수행하고 이를 위한 인재를 양성하는 부산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는 지역 산업발전 및 국가 IT 부품산업 발전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
교환학생 프로그램
- 교환학생 프로그램 활성화로 국제적인 교류를 촉진하고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구성
- 학생들의 외국대학 생활 경험을 토대로 한 외국대학 제도 장점을 도입하여 학부의 질 향상 추구
대학원 학생들의 해외연수 기회 확대
- 대학원 학생들의 외국 유명대학 및 연구소로의 연수기회를 확대함으로써 외국의 앞선 연구경향 취득
행정·재정·조직 관리 영역
행정·재정·조직 관리의 분업화 및 전문화
- 업무의 효율을 위하여 각 업무의 분업화와 전문화 추진
- 학생들과 교원들의 행정업무 부담을 줄이고 연구와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행정업무를 산업협력단과 학과사무실에 분담 추진
- 문서작업이나 편집, 시청각 자료 준비 등 연구와 연관이 없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업무는 전문 직원을 두어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추진
행정·재정·조직 관리의 간편화와 효율화
- 여러 기관에 중복되는 행정조직을 통합하여 비용을 절감하며 업무의 효율성을 높임
- 관련성이 높은 기관들을 근접 배치함으로써 교류를 원활하게 하여 업무의 효율을 높임